본문 바로가기

컴퓨터/소프트웨어

제로보드 XE 설치하기


제로보드라고 하면 알만한 사람은 다 안다는 굉장히 유명한 설치형 게시판이다. zero라는 아이디를 사용하는 고영수씨를 통해서 최초로 개발되었으며, 4.1 버전까지 버전업 되어 있다. 2008년 Xpress Engine 이라는 이름으로 전혀 새로운 버전의 제로보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여전히 제로보드 4는 유용한 게시판이지만, 웹 2.0시대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을 적용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한 개인이 아닌 공동 프로젝트로 만들어지는 제로보드 XE는 전혀 새로운 모습을 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게시판과는 다른 차별화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제로보드 XE
XE의 Xpress Engine은 사전적인 의미로 표현하다라는 express에서 어원을 찾을 수 있다. XE라고 명명된 제로보드 XE project는 이전 제로보드라는 게시판으로서의 한계를 뛰어 넘어 정보의 생산자, 소비자의 구분이 없이 모두가 모두의 역할을 담당하는 새로운 개념의 오픈 소프트웨어로 개발되어지고 있으며, Cubrid, nFORGE와 더불어 NHN의 대표적인 오픈소스 프로젝트중의 하나이다. 공식 홈페이지인 http://www.xpressengine.com과 네이버 개발자 센터(http://dev.naver.com)를 통해서 다양한 정보를 얻고, 교류할 수 있다.


XE의 특징
설치형 게시판을 표방하고 있는 XE는 다양한 패키지를 제공한다. 단순히 게시판의 형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목적에 따라 게시판 패키지, 블로그 패키지, 플래닛 패키지, 쇼핑몰 패키지등 이미 구성되어진 패키지를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패키지들은 기능 하나하나가 모듈의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패키지를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필요한 기능을 가진 모듈을 더하거나 뺌으로써 전혀 새로운 기능을 가진 패키지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선택과 생각에 따라 수백 수천가지의 가능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마련되어 있는 오픈 커뮤니티는 XE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가진 이들에게 충분한 도움을 주고, 네이버 개발자 센터를 통해 다양한 기능들이 계속해서 만들어지고, 이미 만들어진 모듈들에 대해서 피드백이 활발한 피드백이 이루어지고 있다.


XE Core 다운로드.
제로보드 XE는 거의 대부분의 기능이 모듈의 형식으로 되어 있지만, XE Core라고 해서 특별히 게시판을 만들기 위해서 꼭 필요한 모듈들을 모아놓은 패키지가 있다. XE Core는 다른 애드온이나 스킨을 적용하기 위한 기본이되며, 부가기능을 더하는 모듈을 제작하기 위한 틀을 제공한다.


그림1. XE Core의 최신버전.

'Download' -> 'XE Core'를 차례로 선택하면 위와 같은 가장 최신 버전의 XE Core를 볼 수 있다. 한번더 클릭하면, XE Core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이미 설치된 XE를 가지고 있다면 업데이트 파일만 다운로드 받아도 가능하다. 처음 설치하는 사용자라면 XE Core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 다운을 받을때 zip파일과 tgz파일의 형식을 갖는데, 서버가 윈도우라면 zip파일의 형식을 리눅스라면 tgz의 형식을 다운로드 받는것이 서버에서 압축을 풀 수 있어서 훨씬 더 안정적이다.


제로보드 XE 설치할 준비하기
다운로드 받은 XE Core 파일을 자신이 가지고 있는 웹 서버 계정에 업로드 해야 한다. 웹서버에 파일을 올리기 위해서는 FTP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무료로 제공되는 FTP 프로그램이(알 FTP, File Zilla등...) 많이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한것을 사용하도록 한다. FTP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은 후에 자신의 웹 서버에 접속을 한다.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FTP 주소와 아이디를 알아야 하는데, 이것은 웹 호스팅 업체에 문의를 하거나, 자신의 웹 호스팅 정보를 뒤져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cafe24의 경우 ftp 주소는 '아이디.cafe24.com'이다)


그림2. File zilla로 웹 서버에 접속.

위 그림과 같이 FTP 프로그램으로 접속을 하면 'www'란 이름의 폴더가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www'폴더는 웹페이지 서비스를 하는 폴더를 의미한다. 이 'www'폴더 안에 다운받은 XE Core의 tgz 파일을 그대로 업로드 한다. 아니면 zip 파일의 압축을 푼 후 디렉토리를 통체로 업로드를 해도 상관은 없다. 안정적인 방법으로 압축되어 있는 tgz파일을 업로드 하였다면 웹 서버에서 압축을 풀어야 한다. 압축을 풀기 위해서는 텔넷으로 접속으로 해야 하는데, 요즘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거의 대부분 ssh 접속만 가능하게 되어있다. ssh접속이 가능한 무료 프로그램으로(한 글 Putty, zterm등..) 자신의 웹 호스팅을 하는 서버 컴퓨터에 접속한다. 터미널을 사용하고 있다면 ssh '아이디@ssh접속주소' 로도 바로 접속할 수 있다.


그림3. XE Core tgz 파일 압축 풀기.

XE Core파일의 압축을 풀기 위해서 XE Core 파일을 업로드 하였던 'www' 디렉토리로 이동을 한다(명령 : cd www). 압축 파일이 있는 동일한 디렉토리에서 압축을 푸는 명령어를 입력한다. 'tar xvzf xe.1.4.0.10.tgz'. tar은 압축 파일의 앞축을 풀어주는 명령어이다. xvzf는 tar명령어에 딸려있는 옵션으로 압축이 풀리는 상황을 볼 수 있게끔 해준다.


그림4. XE를 루트로 옮기는 과정.

제로보드 XE는 그상태로도 설치와 사용이 가능하지만, 좀더 유용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루프디렉토리로 옮기는 작업이 필요하다. XE를 루트 디렉토리로 옮기기 위해서는 위의 명령을 순서대로 입력하면 된다. 특히 뒷 부분의 있는 점과 공백에 유의하면서 입력해야 한다.

mv xe/* . -> xe폴더의 모든 파일을 폴더 그래도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mv xe/.htaccess . -> .htaccess 파일을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rm -r xe -> 원래 있던 디렉토리를 하위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자 삭제한다.
chmod 707 . -> XE를 모든 사람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퍼미션을 재 조정한다.


제로보드 XE 설치
자신의 웹 호스팅 주소로 접속을 하게 되면 제로보드 XE의 설치 화면을 바로 볼 수 있게 된다. 만약 웹 호스팅 업체의 페이지가 보인다면, FTP 프로그램으로 접속을 해서 'www' 디렉토리의 'index.html'파일을 삭제하거나 다른 이름으로 바꾼후 접속을 하면 설치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림5. 라이선스 동의

설치를 하기위한 언어를 설정하고, 라이선스에 동의하는 버튼을 누르면 설치를 위한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그림6. 설치를 위환 환경 확인.

XE를 설치하기 위한 환경이 적합한지를 확인한다. XE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PHP 4.x ~ 5.x의 버전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하지만 예외적으로 PHP 5.2.2 버전은 사용이 불가능하다. 추가적으로 XML 라이브러리와 GD라이브러리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ICONV는 선택사항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그림7. 데이타베이스 선택

XE는 거의 대부분의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한다. 자신의 서버에 설치되어 있고, 자신이 사용하기 편리한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도록 한다.


그림8. DB와 관리자 정보 입력

마지막으로 DB관련 정보와 게시판 관리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한다. DB 관련 정보는 웹 호스팅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잘 찾아서 입력해야 하며, 관리자 관련 정보는 새로운 관리자는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한다. 이 아이디와 비밀번호는 나중에 게시판을 관리할때 사용되므로 꼭 기억하도록 해야 한다. rewrite mod는 대부분의 서버에서 지원하므로 체크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관련 정보를 모두 입력한 후 '등록' 버튼을 누르면 XE가 생성되고 접속 페이지가 나오게 된다. 바로 전에 입력했던 관리자 정보를 이용하여 접속하도록 한다.


그림10. XE 관리자 페이지

XE의 모든 설치가 정상적으로 이루어 졌다면 위와 같은 관리자 페이지가 나타날 것이다. 이제 게시판을 생성하고, 멋진 컨텐츠들을 생산해 내는 일만 남았다.

'컴퓨터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보드 4 보안패치 수정방법  (0) 2010.05.22
제로보드 4 설치 방법  (0) 2010.05.22
그누보드에서 게시판 만들기  (0) 2010.05.22
그누보드 설치하기  (0) 2010.05.22
시스템 복원의 숨겨진 비밀  (0) 200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