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누보드는 제로보드와 더불어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있는 설치형 게시판이다. 2005년 4월 28일 배포가 시작되었으며, 현재까지
수십만의 다운로드를 기록하고 있는 검증된 게시판이다. 개발자 홈페이지와 일반 개발자들을 통하여 다양한 플러그인들이 개발되어 필요한
기능들을 추가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그누보드 의 장점.
그누보드는 GPL License 따르기때문에 소스가 오픈되어 있고, 자유롭게 수정및 배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로보드와는 다르게 저작권 표시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업이나 프리랜서들도 부담없이 사용이 가능하다. 개발자의 경우에는 플러그인을 개발하여 판매도 가능하다. 그누보드의 특징적인 기능인 포인트 기능은 회원을 관리하거나, 쇼핑몰등의 사이트를 운영하는데 있어서 더 좋은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트랙백, RSS등 최신의 기능들을 아무런 어려움 없이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
그누보드 준비하기.
그누보드는 PHP 와 MYSQL 의 환경에서 개발되어졌고 사용이 가능하다. 그누보드를 사용하기전에 자신의 계정에서 PHP 와 MYSQL 의 사용환경이 준비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자신의 계정에서 PHP 와 MYSQL 의 사용이 가능하다면 그누보드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야 하는데 http://www.sir.co.kr/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가능하다. 그누보드 사용자 커뮤니티에서는 스킨, 플러그인등의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쇼핑몰 솔루션인 영카트에 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그누보드 다운로드 게시판에서 최근의 버전을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도록 한다. 다운로드를 받을 때 주의해야 할 점은 자신의 MYSQL 계정이 언어셋이 'ecu-kr' 인지 'utf-8' 인지 확인을 해야 한다. 만일 올바른 언어셋의 파일을 선택하지 않는다면 한글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다운로드 받은 그누보드 파일은 'tgz' 라는 압축파일로 되어 있다. FTP 접속 프로그램인 'FileZilla' 나 '알FTP' 등을 통해 자신의 계정에 업로드 한다. 압축을 풀어서 업로드 해도 되고, 그냥 올려도 상관은 없다.
터미널 프로그램인 'zterm' 이나 'putty' 을 통하여 자신의 계정에 접속한다. 계정 접속에 관한 정보는 계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보면 얻을 수 있다. 접속을 하기 위해서는 FTP 주소, 계정 ID, 계정 password 가 필요하다. 접속이 이루어진 후에는 그누보드 압축파일이 있는 폴더로 이동하여 다음의 명령을 순서대로 입력하도록 한다.
tar xfz gnuboard4.utf8.tgz
mv gnuboard4.utf8 gnuboard4
chmod 707 gnuboard4
mv gnuboard4.utf8 gnuboard4
chmod 707 gnuboard4
그누보드 설치하기.
자신의 계정에 파일을 올리고, 퍼미션을 변경했다면 그누보드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는 완료된 것이다. 그누보드의 파일이 있는 폴더로 접속을 하면 되는데, 'http://사용자계정/gnuboard4/' 와 같은 방법으로 접속 하도록 한다.
그누보드를 처음 설치하는 사용자라면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올것이다. '승인' 버튼을 눌러서 설치를 진행하도록 한다.
라이센스를 읽어보고 동의하도록 한다. 그누보드는 GPL 라이센스를 따르기 때문에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그누보드를 설치할 계정의 정보와 관리자 정보를 입력하도록 한다. MySQL 에 관한 정보는 계정을 제공하는 사이트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위의 화면과 같이 설치 화면이 나오고, 설치가 완료되면 '메인화면' 버튼을 눌러서 그누보드 메인화면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그누보드를 설치하는 과정은 메우 간단하다. 파일을 올리고 퍼미션을 변경하고, 데이터베이스의 간단한 정보만 입력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하지만, 자신의 계정정보나, 데이터베이스에 관한 정보는 꼭 알고 있어야 막힘없이 설치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컴퓨터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보드 4 보안패치 수정방법 (0) | 2010.05.22 |
---|---|
제로보드 4 설치 방법 (0) | 2010.05.22 |
그누보드에서 게시판 만들기 (0) | 2010.05.22 |
제로보드 XE 설치하기 (0) | 2010.05.22 |
시스템 복원의 숨겨진 비밀 (0) | 200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