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희가 댓글로 질문한 아이리쉬 클릭
![](http://dicimg.naver.com/100/400/74/1408474.jpg)
↑ 아일랜드 국기 / 북대서양 북동부 아일랜드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나라. 정식명칭은 아일랜드 공화국이다. |
초록·하양·귤색의 3색기이다. 초록은 가톨릭교도를, 귤색은 프로테스탄트교도를 나타내며, 하양은 이 둘의 결합과 우애의 표지(標識)이다. 프랑스혁명의 영향을 받아 혁명운동의 표지로 쓰였으며, 19세기 중엽부터 3색기가 나타났고 1848년 청년아일랜드운동(Young Ireland movement)의 기수인 토머스 프랜시스 미거(Thomas Francis Meagher)에 의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937년 12월 29일 제정하였다.
|
설명 |
||
|
||
![]() ↑ 아일랜드 주요도시 지도 |
Irish(아이리쉬)
1. 아일랜드어, 아일랜드 켈트어 2. 아일랜드 사람들 3. 아일랜드의, 아일랜드인의
(예) english(England,영국) ; french ; swedish ; italian ; dutch ; Japanese(Japan,일본) ; spanish Korean(Korea,한국) ; polish ; portuguese ; danish 등등...
켈트족
켈트족은 인도유럽어족의 한 일파인 켈트어파를 쓰는 유럽의 민족을 가리킨다. 또한 사용하는 언어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켈트 미술과 같은 문화적 특성이 고고학적 증거로서 발견되는 지역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역사
역사적 연구들은 이러한 요소들이 일반적인 기원의 표상임을 밝혀냈다 그러나 그 뒤, 다양한 원주민에 퍼져있는 문화에 관한 연구들은 최근에 유전학적 성과의 도움도 받았다. 이들은 붉거나 금발에 땋은 머리를 하며. 유럽 최초로 바지를 입음으로써 활동하기 좋도록 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었으며, 날개달린 투구를 썼다. 또한 로마에서 포도주를 먹을때 이들은 벌써 맥주를 마시고 있었는데, 이상의 이미지는 켈트족의 트레이드 마크가 되었다.
기원전 7세기경까지는 도나우 지방에서 이동해 온 켈트족이 현재의 프랑스에 해당하는 갈리아 지방에 씨족사회(氏族社會)를 형성하였다. [1] 스키타이 인이 실롱스크, 모라바와 체히를 침입하여 원주민들이 상당히 약화되자 이들을 시기하던 켈트족은 동쪽으로 이동하여 체히, 모라바, 그리고 실롱스크 일부와 상류 지역의 비스와 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이로서 켈트족의 "위대한 팽창"이 사작되는데, 이 사건은 이탈리아에서 격렬한 봉기를 야기시켰다. 기원전 390년에 켈트족은 로마를 공략하고 전 국가를 공략하려고 위협하였다. 이들은 또 소아시아를 뒤흔들고, 일부 켈트 부족들은 그 곳에서 영구 거주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후일 파울로스가 서간을 써 보냈던 갈라티아인이 되기도 하였다. [2]
로마 제국의 확장은 대륙의 켈트족들이 로마 문화를 받아들이도록 하였다. 175년경 영국에 기독교가 상륙하면서 형성된 아일랜드와 그레이트브리튼 섬의 켈트 기독교 또는 캘틱 교회의 발전은 4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켈트 미술의 초기 중세의 문예부흥을 이끌었고, 자연과 일상생활에서 하느님을 경험하는 캘틱 영성이라는 기독교 전통을 만들어냈다. 17세기부터 비롯된 골동품적 흥미는 “켈트”라는 용어가 확대하게 하였고 한창 떠오르던 국민주의는 19세기에 켈트어파 언어를 여전히 사용하던 지역에 켈트족을 재등장시켰다.
대중문화
르네 고시니의 만화 《아스테릭스》는 로마군에 맞서 싸우는 켈트족들의 이야기다.
거주지역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에는 순수 켈트족이 많이 거주한다. 웨일스의 켈트족은 자체 문화를 거의 잃어버리고 잉글랜드에 동화되었다. 그 밖에 프랑스 북부의 브르타뉴 반도와 스페인 북서부 갈리시아, 포르투갈에도 거주한다.
'상식코너 > 인류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기하자 남북전쟁 6.25 (0) | 2009.08.27 |
---|